레이블이 transla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translation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6-06-04

translation: 'Oxford Modern English Grammar' (Ch.10.3.9; Close)

*Translated into Korean by Hongsung Kim (iamhongsungkim.blogspot.com)


10.3.9 양면성을 띄는 서법 조동사들(Marginal modals)

핵심 서법 조동사로부터 떨어져서, 영어는marginal modals라고 불리는 수많은 동사를 갖는다, 그것들은 핵심 서법 조동사들와 다르게 구문적 행동에 있어서 더 크게 또는 더 작게 펼쳐진다. 이 범주는DARE, NEED  그리고 OUGHT [to] 포함한다.
USED [to]
는 몇몇 문법에서는 그렇지만 여기에서는 포함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것은 상적인 것(aspectual)으로 취급된다. Section 9.3.4.3을 보라.



10.3.9.1 DARE and NEED

DARE NEED는 본동사 그리고 서법조동사가 될 수 있다. 우리는 그러므로 4개의 동사 어휘소를 갖는다. 본동사로 쓰였을 때, 그것들은 시제 굴절, 보어로서의 to-부정사 절, 그리고 DO-support를 취할 수 있다.

118 One place that dares to be different is Sofia’s Hristo Botev.

119 I think he just needs to shave five times a day.

120 I don’t even dare to write what the best and the worst I can expect is.

121 You don’t need to bother.

122 Why did they dare to rob the Northern Bank of more than £26 million?

123 Why do you need to chop them down?

To-부정사 절은 (124) (125)에서 처럼 그 자신의 주어를 가질 수 있다. 비록, DARE에 있어 이것은 다른 의미(‘도전’)를 포함한다.

124 I dare you to visit Johannesburg, the city for softies.

125 I need you to do me a huge favour.

본동사 DARE는 또한 아래의 (126)에서처럼 bare infinitive 보어를 취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이것은 서법 조동사에 의해 뒤따라진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그 자체는 서법 조동사가 될 수 없다

126 He wouldn’t dare  take if from you.

게다가, (127)에서처럼 NEED는 직접목적어로써 명사구를 취할 수 있다.

127 They don’t need  any more business.

서법조동사로써 DARENEED는부정 또는 도치구문에서bare infinitive 보어를 취한다. 그것들은 3인칭 단수 형태를 갖지 않는다

128 Or daren’t you ask?

129 You needn’t read every chapter.

130 And dare I suggest that that is the match-winner?

131 Nor need I look further than my own city of Sheffield.

marginal modal로써의 동사 NEED는 과거 시제를 갖지 않는다: 우리는 다음과 같이 말할 수 없다. *He needed read every chapter. 그것은 분명하게 중심적 서법 의미인 필연성’을 표현한다. DARE 비록 그것이 ‘forward-looking’이지만, 의미의 관점에 있어 서법조동사로써 모호하지 않다. 그리고  대담한 행동이 절의 주어와 관련된다는 사실때문에 때때로 동적 서법성을 실증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10.3.9.2 OUGHT [to]

구문론적으로, OUGHT to-부정사(‘[to]’로 지시되어진)  앞선다. 그리고  그것이 OUGHT marginal modal로 만드는 것이다, 왜냐하면 핵심 서법 조동사들은 bare infinitive에 앞서기 때문이다.

132 Oh well, I suppose I ought to go to bed, as it’s work tomorrow.

133 Do you think we ought to bring some wine?

134 I think Carol ought to leave at this point.

OUGH는 과거 시제 형태를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MUST와 비슷하다.

비록 이것이 표준은 아니지만, 몇몇 발화자들에 있어서는 OUGHT [to]가 본동사의 속성인 DO-support를 취할 수 있다

135 Bristol was built on the slave trade, didn’t we ought to flatten it just to show how sorry we are?

아래에 예로 들어진, OUGHT [to]가 쓰인 의문, 부정 구문들은 드물다. 도치된 구문들에서 to-부정사가 동사로부터 분리되어졌다는 것을 주목하라.

136 Ought the doctor to have intervened as he did?

137 Peter Jackson confirmed at Comic-Con that his eagerly-anticipated two-part Hobbit film is still some way off, but that oughtn’t to stop us speculating about casting.

몇몇의 문법학자들은 (138)(139)에서처럼, 미국 영어의 의문과 부정 구문에서OUGHT bare infinitive에 앞설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해왔다.

138 But, ought I deceive you?

139 This oughtn’t be a one-time thing.

부정사적 표시 to OUGHT와 속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136)에서처럼 그것으로부터 분리되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래의 (140)에서는 부사가 OUGHT to 사이에 위치해 있다.

140 But we need to ger out of this war into a peace which the Arabs themselves have to make and anything which suggests that the Western Christian world is imposing its own values on the Muslim world is something which we ought now to avoid.

OUGHT [to]는 주로 should와 같은 의무적 의미를 나타낸다. 발화자가 세계가 반드시 구성되어져야 하는것으로 믿는 방법과 관련된 것이다. Should가 쓰일 때 처럼 보어 절에 표현되어진 상황이 실현되어질 것이라는 어떠한 예측도 없다. 거의 항상 should OUGHT [to]와 대체되어질 수 있다.

translation: 'Oxford Modern English Grammar' (Ch.10.3.7 - 10.3.8.3)

*Translated into Korean by Hongsung Kim (iamhongsungkim.blogspot.com)


10.3.7 MAY/might

뒤따르는 sections에서, 우리는 MAY/might의 지식적, 의무적, 그리고 관용적(formulaic) 의미를 본다.


10.3.7.1 지식적 가능성: 지식-기반 가정

서법 조동사 MAY는 그것의 과거 시제 형태 might와 함게, 일반적으로 지식적 가능성을 표현하며 이 경우 ‘It is possible that…’으로 바꾸어 쓸 수 있다.

95 I appreciate that it may be too late, or not desirable to make any change, but I just thought I would send you this anyway.

96 It may mean he’s not normal.

97 She might be coming to Clare’s party.

98 You said to me once you might come to London to visit.

이 예제들은 지식적 의미를 표현한다. 왜냐하면 발화자들이 그들의 가정에 대해 얼마간의 지식 또는 증거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비록 이 증거가 약한  것일 법 하지만 말이다.

어떻게 may might과 다른가, 그리고 가능성을 표현하는 CAN과는 어떻게 다른가?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다음과 같다. may보다might를 사용할 때 발화자는 더 높은 불확실성의 급을 표현한다. 과거 시제 형태 mightmay가 하는 것보다 더 멀리 발화자를  절의 비-사실성으로부터 떼어놓는 것으로 보인다. 다르게 말하면, 서법 의미의 강도가 might의 경우에서 더 줄어든다. (97)과 같은 예에서, may가 쓰였을 경우와 비교해보면, 발화자는 그녀가 파티에 올 것이라는 가능성에 덜 분명함을 갖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번째 질문에 있어, 만약 우리가 (96)과 같은 예제를 본다면, CAN이 더 가정적이거나 더 이론적인 가능성을 표현 하는 것과 달리,  MAY실제가능성을 표현하는 것으로 말하여 질 수 있다.환자의 문제에 대해 가능한 진단을 논의할 때, 동료들의 관점에 영향을 주고 싶지 않은치료사(Therapist)아마도 CAN을 사용하며 (96)을 말할 것이다.

뒤따르는 예제들에서, MAY(양보 MAY로 불리는)를 포함하는 절을(al)though에 의해 도입되는 비서법적 절을 사용하여 바꾸어 쓸 수 있다.

99 It may be good for you, but It’s not very good for the black people in South Africa. > ‘Although it is good for you, it’s not very good for the black people in South Africa.’

100 It may be bad for the earth’s climate, but in the short term it’s good for Brazil’s economy. > ‘Although it is bad for the earth’s climate, in the short term it’s good for Brazil’s economy.’

 

10.3.7.2 의무적 가능성: 허락

MAY의 덜 일반적인 의미는 허락이다.

101 May I point out they need trade as much as they need aid?

102 May I also ask if you would send me deadline dates for when the journal goes into six issues a year?

103 If you are excepted you may, if you wish, pay Class 2 contributions voluntarily to keep up your right to the benefits they provide.

우리는 section 10.3.6.2에서 허락을 표현하기 위해 CAN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보았다. 어떻게 이 대목에서 CANMAY가 다른가? 일반적으로  MAY는 훨씬 더 공식적이다. 그리고 이 동사를 사용하여 허락을 해주는 발화자는 더 권위있는 위치일 것 같다. 역으로, MAY를 사용하여 허락을 요청하는 화자는 과도하게 예의를 갖추는 것으로 인식되어질 수 있다.

Might의 허락 의미는 드물다. 예제가 아래에 보여진다.

104  When she decided that the Shah – himself a chain-smoker – was saying nothing of interest, she stopped taking notes and asked whether she might smoke.

 

10.3.7.3  관용적(formulaic)  MAY

예제 (105)에서 처럼, 주절의 MAY는 소망을 표현하기 위해 관용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많은 언어에서는 여기서 가정 동사 형태가 사용된다.

105 Long may  they fail.

10.7 MAY/might의 사용을 요약한다


                     MAY/might의 사용

 

지식적 가능성: 지식-기반 가정

의무적 가능성: 허락

관용적 사용

 

                     10.7: MAY/might의 사용

 

10.3.8 MUST

MUST는 의무적, 지식적, 또는 동적 필연성를 표현할 수 있다.

 

10.3.8.1 의무적 필연성: 의무(obligation)

MUST의 핵심 의미는 의무적 필연성이다. , ‘의무(obligation)’.

106 You seem to be seeking to destroy yourself in some way, but you must not include me in your plan of action.

107 She must not put him through that agony again.

108 You must keep them moist.

의무적 MUSTshould OUGHT [to]보다 더 강력하게 의무를 표현한다.
이미 주목되었던 것처럼 must는 과거 시제를 갖지 않는다, 대신에 had to가 사용되어진다.

109 And it was awful because they had to give her an injection in her back.

110 Two-year old Darren had to go into care when his mother Angela had a mental breakdown.

 

10.3.8.2 지식적 필연성: 지식-기반 결론

MUST가 지식적으로 사용되었을 때, 발화자 또는 저자는 특정한 결론을 보장하는 증거 또는 지식을 갖고 있다.

111 God, it must’ve been awful in those days.

112 You must be running out of time.

113 You must miss him heaps!

지식적 MUST는 지식적 should보다 더 강하다: 발화자 또는 글쓴이는그들이 내리고 있는 결론에서 더 높은 확신의 급을 갖고있다.

 

10.3.8.3 동적 필연성: 주어-지시자에 필연적으로 추정되어지는 속성, 또는 중립적 필연성

MUST는 절의 주어의 지시자 본성에 필연적으로 속해 있거나 또는 그것에 부과되어있는 속성을 표현할 때 사용되어질 수 있다. 이 사용은 드물다.

114 On the other hand, and notwithstanding an acknowledgement that ‘any development must be subordinate and complementary to the presence of this great building’, the design is unmistakably Post-Modernist.

115 The agreement between the parties must be one which confers upon them an authority which is wide enough to include all the instalments of hire.

동사 MUST는 또한 필연성의 중립적(또는 정황적) 의미를 표현할 수 있다. 이는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Given the circumstances it is necessary that…’

116 The city has no river and must bear the heavy cost of pumping water in, and sewage out, over the surrounding mountains.

117 First, there must be successful nation-building.

MUST의 사용이 표 10.8에 요약되어져 있다


                                MUST의 사용

 

의무적 필연성: 의무

지식적 필연성: 지식-기반 결론

동적 필연성: 주어의 지시자에게 필연적으로 추정되어지는 속성, 또는 중립적 필연성

 

                     10.8: MUST의 사용

translation: 'Oxford Modern English Grammar' (Ch.10.3.5.2 - 10.3.6.3)

*Translated into Korean by Hongsung Kim (iamhongsungkim.blogspot.com)
 
10.3.5.2 should


10.3.5.2.1 의무적 서법성: 필연성(necessity)

Should(59)-(62)에서처럼 의무적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59 I think she should  wait at the airport.

60 And of course as a learner you should  be extra careful.

61 A theorem should  come to your mind like a flash of lighting.

62 The main focus of economic planning should  be on meeting the medium-term impact of the recession, particulary on employment.

이러한 should의 사용은, 발화자에 의해 인식되는 것처럼 또는 정황에 의해 지시되는 것처럼, 세계가 반드시 구성되어져야만 하는 방법과 관련된다. 보어 절에 표현된 상황(‘wait at the airport’ , ’be careful’, etc.)일어날 것이라는 데에는 어떤 예상도 없다. 이 때의 should의 사용은 OUGHT [to]와 바꿔쓸 수 있다.


10.3.5.2.2 지식적 서법성: 증거-기반 가정

should지식적 사용은 발화자 또는 글쓴이가 그들이 소유한 지식이나 경험에 기반을 둔 미래 상황에 대해 가정을 만들 때 나타난다. 당해의 상황은 그것이 예상된대로 실현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63 On Saturday I’m off to a fireworks & classical music evening at Leeds Castle which should  be good.

64 Well, I’m having Gay put out a reminder slip at the moment which should  be in your pigeon-hole before ten-thirty.

가정이 기반을 두고 있는 지식은 강도가 다양할 수 있다. 첫 번째 예에서 발화자는Leeds Castle에 대해 그녀가 알고 있는 것에 기반해서 다가오는 사건이 좋을 것이라는 결론을 내린다. 두 번째 예에서 결론은 정황적 지식에 기반을 둔다. 예를들어Gay로 지시된 사람이 보통 얼마나 빠르게  메시지를 보내는가하는 것이다. 논쟁할 수 있는 이야기지만 또한 지식적인  사용것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아마도 얼마쯤 틀에박힌것으로, I should think I should have thought에서의 말투는 I would think I would have thought보다 더 가정적 이고 사색적이다.

65 I should  think the number of people who would actually run a process like this would be really quite small.

66 I should  have thought he’d’ve had one before now.

지식적 should는 지식적 MUST보다 약하다.


10.3.5.2.3 명령적(mandative) 그리고 추정적(putative) should

일정한 동사, 형용사, 그리고 명사는 should의 사용을 야기시킨다. 여기 몇몇의 예제가 있다.

67 It also recommended [that the service should  have at least 240 lines, which happened to be the limit for the Baird system at the time].

68 It was in nineteen hundred and six that the Queen’s great-grandfather King Edward the Seventh decreed [that privates in the Household Cavalry should  henceforth to be known as troops].

69 It is important [that all randomized clinical trials should  be published irrespective of their results].

우리는 저 that-절 안에 있는 should명령적 should’로써 지시한다, 그리고 그 절 자체를 명령적 should 로써 지시한다. 이것들은 명령적 의미를 표현한다. 종속절이 오직 동사의 plain 형태를 포함할 때, 우리는 명령적 가정 절(mandative subjunctive clauses)’이라는 말을 쓴다. (67)-(69)에서 이를 야기시키는 단어(밑줄쳐진)앞을-내다보는(forward-looking)’ 것들(, 서법적인 것)이다.  추천되고(recommended), 판결되고(decreed), 또는 중요한 것(important) (아직) 일어나지 않고 있다는 의미이다. 주절의 동사가, (67)-(68)에서 처럼, 과거 시제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라. 명령적 should를 야기시키는 또 다른 것들은 많은 가운데서도 특히 다음의 것들이 있다. 동사 BEG, DEMAND, ENTREAT, INSIST, ORDER, RECOMMEND, SUGGEST; 명사 decision, demand, intention, recommendation, order, proposal, request; 그리고 형용사 advisable, desirable, essential, necessary, preferable, urgent, and vital.

That-(70)-(72)에서 처럼 평가, 반영, 태도 또는 감정적 의미를 표현할 때, 우리는 추정적(putative) should 라는 말을 쓴다. 괄호쳐진 절은 추정적 should ’(putative should clauses)이라고 불린다.

70 It is disappointing, therefore, [that the submitted design should fall far short of its clearly stated goal].

71 It seems amazing now [that somebody I remember as so conventional should have been so ahead of her time in female rights].

72 There were good reasons [why the Commonwealth should not have been popular with the English and Welsh in general].

(73)-(75)가 보여주듯 위의 예들에서should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should가 없이 괄호쳐진 절들은 비서법적이다(unmodalized).

73 It is disappointing, therefore, [that the submitted design falls far short of its clearly stated goal].

74 It seems amazing now [that somebody I remember as so conventional was so ahead of her time in female rights].

75 There were good reasons [why the Commonwealth was not popular with the English and Welsh in general].

추정적 should를 야기시키는 다른 것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포함한다. good, incredible, sad, surprising, remarkable, a pity, and a shame. 명령적 그리고 추정적 should는 영국영어의 특징이다, 미국영어에서는  사용되는 빈도가 높지 않다.

 

10.3.5.2.4 조건절(conditional)과 목적절(purposive) 안에서의 should

should는 또한 지시된 상황이 실현되는 것을 의심하는 일정한 양이 표현돼 있는 조건절 안에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76)에서 발화자는 아마도 청자가 그와 우연히 만나게 될 것을 있을법하지 않게 생각할 것이다. (77)의 경우에서는 발화자는 더 많은 질문을 받을 것이다.

76 I’ll accept cash if you should  run into me.

77 Should  you have any further queries please do not hesitate to contact me.

(78)에서 should목적을 표현하는 절에서 사용되어졌다.

78 There was a deliberate effort to makr it appear surgical, and almost consequence-free in order that public opinion at home should  not be eroded.

10.5 should의 사용의 개요을 나타내 준다

                                                     Should의 사용
 
의무적 서법성:  필연성
지식적 서법성: 증거-기반 가정
명령적/추정적 사용들
조건적 사용
목적적 사용
 

                                10.5: should의 사용

 

10.3.6 CAN/could

우리는 CAN/could동적, 의무적, 그리고 지식적 의미를 구별한다, 뒤따르는 sections에 논의되어져 있다.


10.3.6.1 동적 가능성: 중립적 가능성, 능력, 그리고 실존적 의미

CAN의 핵심적 의미가능성이다. (79)-(82)에 예제화되어있다.이것은 ‘It is possible for…’로 바꾸어 표현할 수 있다. 우리는 이 중립적 서법성 형식을 동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왜냐하면 그것은 일반적으로 발화자가 아니라 정황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79 I don’t understand why the service sector can show any optimism.

80 When those resolutions are fulfilled or are in the process of being fulfilled then operations can cease.

81 For example, one could record every minute of the operation and gain and enormous amount of data.

82 You could  walk to our carbins, and not meet a soul.

위의 예제들에서 could는 좀 더 가정적이다, 또는 실제보다는 오히려 이론적인 가능성을 표현한다.

동적 가능성의 또 다른 형식은 능력이다. 아래의 예제들에서 예제화 되어 있다.

83 Though dolphins can sense an oil-slick and will move away from it, the size of the current spill guarantees that it will catch some animals.

84 Pete could do basic things on a computer, but it wasn’t enough.

마지막으로, can실존적의미는 전형적으로  개인들이나 동물 따위의  특정한 집합의 구성원에 속하는 속성이나, 또는 일정한 시간에 지시자에게 적용되는 속성과 관련된다. (85)-(87)에서 ‘being agreesive’, ‘being fatty’, 그리고 ‘being brave’ 속성들은 각각 그 절의 주어에 속한다, 그리고  이 이유 때문에 서법조동사는 동적 서법성을 표현한다. (88) could의 예는 과거 시간을 지시한다, 그리고 ‘It was possible for her to be negative about him’으로 바꾸어 쓰여질 수 있다.

85 Don’t blame breed, all dogs can be aggressive.

86 Lamb can be fatty when you buy it so make sure you trim off any obvious and excessive chunks of fat before putting the meat in for mincing.

87 The public, which has a clear view of what is expects from the police, understands the need for measured police responses and knows that individual police officers can be outstandingly brave.

88 Given a little bit of an excuse she could be negative about him.


10.3.6.2 의무적 가능성: 허락

CAN의 덜 일반적인 의미는 의무적 가능성, 허락이다. 예제들이 (89) (90)에 보여진다.

89 You can only have showers on week-days after supper.

90 You cannot dump them in here.

CAN가능성허락의 느낌들을 항상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아래의 예제들에서, 양쪽으로 읽는 것은 가능하다: ‘Is it possible to change my flight?’ or ‘Am I permitted to change my flight?’

91 Can I change my flight to the eight forty one on Thursday evening?

만약 이 예제에서could가 쓰였더라면, 요청은 더 가정적이고  예의적이었을 것이다. 허락의 느낌으로 Could를 입증하는 예제들은 찾기 어렵다. 두 개의 후보가 (92) (93)에 보여진다. 예제들의 첫 번째는 다음을 의미할 것 같다. ‘Are we permitted to have our Locoscript 2 disc back?’. 가능성느낌은 있을 법하지 않다. 그리고 ‘if possible’로 시작하는 절이 주어지는 경우는 가능성의 개념은 두 번 표현되어 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예제(93)(91)과 같이 모호하다: ‘가능성허락양쪽 모두 가능한 해석이다.

92 If possible, could we please have our Locoscript 2 disc back?

93 Could we have an indie disco on the third floor?

, 많은 경우에 있어 화법 문맥은 어떤 의미가 의도된 것인지를 분명하게 해준다는 것은 반드시 강조되어야 한다.

규범주의자와 학교선생님들은 과거에 CAN허락쓰임에 인상을 찌푸려왔다. 그리고  대신에 MAY를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그러나 사실 허락느낌은 잘 성립된다. 그리고 어떠한 소통의 문제도 일으키지 않는다.


10.3.6.3 지식적 필연성: 지식-기반 결론

뒤따르는 예제에서 발화자는’Simon’에 대한 그의 지식에 기반해서 결론내린다.  ‘Simon’‘us’로 지시된 어떤 사람 보다도 나이가 더 많은 것은 아니라는 지식이다. 동사 CAN은 여기서 분명하게 지식적 의미를 나타낸다. 그것이 부정되어질 때 그것은 오직 이 느낌과 함께 사용되어진다.

94 Actually, Simon can’t  be too much older than us.

10.6 CAN/could의 사용을 요약한다.

                     CAN/could의 사용

동적 가능성: 중립적 가능성, 능력, 실존적 의미
의무적 가능성: 허락
지식적 필연성(부정적 문맥에서): 지식-기반 결론
 

                     10.6: CAN/could의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