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임을 난 믿어요
아이들을 올바르게 가르쳐서
길을 이끌어 나가도록 해요
아이들 안에 내재해 있는
아름다움을 모두 꺼내어 주어야죠
아이들이 수월한 삶을 살도록
자부심을 심어 주세요
아이들의 웃음 소리를 듣고
우리의 과거를 돌이켜 봐요
우린 모두 영웅을 찾고 있어요
우러러볼 누군가가 필요한 거죠
나의 부족함을 채워줄 누군가를
나는 찾지 못했어요
세상은 외로운 곳이에요
그래서 내 자신에게 기대는 법을 배웠죠
난 절대 타인의 그늘에 들어가
살지는 않겠다고 오래 전 결심했어요
내가 실패하든 성공하든
난 내 자신이 믿는 바에 따라 살 거에요
내게서 그 무엇을 앗아가더라도
나의 존귀함만은 빼앗을 수 없어요
가장 커다란 사랑이 내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에요
나는 가장 위대한 사랑을
나 자신에게서 발견했어요
가장 큰 사랑을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에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장 위대한 사랑이죠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임을 난 믿어요
아이들을 올바르게 가르쳐서
길을 이끌어 나가도록 해요
아이들 안에 내재해 있는
아름다움을 모두 꺼내어 주어야죠
난 절대 타인의 그늘에 들어가
살지는 않겠다고 오래 전 결심했어요
내가 실패하든 성공하든
난 내 자신이 믿는 바에 따라 살 거에요
내게서 그 무엇을 앗아가더라도
나의 존귀함만은 빼앗을 수 없어요
가장 커다란 사랑이 내게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에요
나는 가장 위대한 사랑을
나 자신에게서 발견했어요
가장 큰 사랑을 얻는 것은
어려운 일은 아니에요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
가장 위대한 사랑이죠
그리고 혹시 당신이 꿈꾸어왔던
특별한 곳을 향해 나아가다가
외로운 곳에 닿게 될 지라도
사랑으로 힘을 얻도록 하세요
I believe that children are our future
Teach them well
and let them lead the way
Show them all the beauty
they possess inside
Give them a sense
of pride to make it easier
Let the children's laughter
remind us how we used to be
Everybody's searching for a hero
People need someone to look up to
I never found anyone
who fulfilled my needs
A lonely place to be
And so I learned to depend on me
I decided long ago
never to walk in anyone's shadow
If I fail, if I succeed
at least I'll live as I believe
No matter what they take from me
they can't take away my dignity
Because the greatest love
of all is happening to me
I've found the greatest love
of all inside of me
The greatest love of all
is easy to achieve
Learning to love yourself
is the greatest love of all
I believe that children are our future
Teach them well
and let them lead the way
Show them all the beauty
they possess inside
I decided long ago
never to walk in anyone's shadow
If I fail, if I succeed
at least I'll live as I believe
No matter what they take from me
they can't take away my dignity
Because the greatest love
of all is happening to me
I've found the greatest love
of all inside of me
The greatest love of all
is easy to achieve
Learning to love yourself
It is the greatest love of all
And if by chance that special place
that you've been dreaming of
leads you to a lonely place
find your strength in love
Say, say, say what you want 당신이 원하는것을 말해요 but don't play games with my affection 그렇지만 나의 진심을 가지고 장난을 치지는 마세요 Take, take, take what you need 당신의 원하는것을 가져요 but don't leave me with no direction 그러나 저를 떠나지는 마세요 All alone I sit home by the phone waiting for you baby 집에 홀로 앉아 당신의 전화만을 기다립니다 Through the years how can you stand to hear my pleading for you dear? 나의 당신을 위한 소리를 느끼시나요? You know I'm crying, ooh ooh ooh ooh ooh 당신은 내가 울고 싶을것이라는 것을 알거에요
Now go, go, go where you want 지금 당신이 원하는 장소로 떠나요 but don't leave me here forever. 그러나 여기 내가 있는곳을 영원히 떠나지는 마세요 You, you, you stay away so long girl I see you never 이곳에 오랫동안 머무르세요.. 나는 당신을 볼수가 없어요 What can I do girl, to get through to you? Cause I love you baby. 내가 당신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까요? 나는 당신을 사랑하는데.. Standing here baptised in all my tears, baby through the years, 몇년동안이나.. 이곳에서 눈물만 흘리고 있어요 You know I'm crying, ooh ooh ooh ooh ooh 당신은 내가 울고있을거라는것을 알지요
You never ever worry and you never shed a tear. 당신은 절대로 걱정하지 마세요.. 절대로 눈물을 흘릴필요 없어요 You're saying that my love ain't real 당신은 나의 사랑이 현실적이라고 말하지요 just look at my face, these tears ain't drying. 나의 얼굴을 바라만봐요 이미 눈물은 말라있지요 You, you, you can never say 제발 말하지 말아요 that I'm not the one who really loves you. 내가 당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사람이 아니라고 I pray, pray, pray ev'ry day 나는 매일 기도 합니다 that you'll see things, girl, like I do. 당신이 나의 마음을 볼 수 있도록 What can I do girl, to get through to you? Cause I love you baby. 난 당신을 너무 사랑합니다.. 당신을 위해서 무엇을 해야 할까요? Standing here baptised in all my tears, baby through the years, 몇년동안 이곳에서 눈물만 흐르고 있네요 You know I'm crying, ooh ooh ooh ooh ooh 당신은 내가 울고 있으리라 생각하시겠지요
* 'Say Say Say'
폴 매카트니와 마이클 잭슨의 공동 작사 · 작곡으로, 마이클의 앨범 『Thriller』 중의 <TheGirlIsMine>을 이들이 공동으로 만들었는데, 이 곡은 폴의 앨범에 마이클이 참여해 역시 공동으로 만들어낸 작품이다. 83년 12월 10일부터 6주간 넘버 원을 기록했다.
폴 매카트니와 마이클 잭슨의 듀엣이 멋들어진 조화를 이룬다.
*곡 소개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말해 주세요 'Say, Say, Say' (이야기 팝송 여행 & 이야기 샹송칸초네 여행, 1995. 5. 1., 삼호뮤직)
* 가사 출처: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3&dirId=30203&docId=53728839&qb=c2F5IHNheSBzYXkg6rCA7IKs&enc=utf8§ion=kin&rank=2&search_sort=0&spq=1&pid=S2YvydpySEhssv6FUodsssssstR-393934&sid=bjkcdByAj7kyxMts%2Bn6VEg%3D%3D
It's a tug of war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It's a tug of war We expected more But with one thing and another We were trying to outdo each other In the tug of war
In another world In another world we could stand on top of the mountain With our flag unfurled In a time to come In a time to come we will be dancing to the beat Played on a different drum
It's a tug of war Though I know I mustn't grumble It's a tug of war But I can't let go If I do, you'll take a tumble And the whole thing is gonna crumble It's a tug of war (Pushing, pushing, pulling puliing) (Pushing, pulling)
In years to come they may discover What the air we breathe and the life we lead Are all about But it won't be soon enough (it won't be soon enough for me) Soon enough for me No it won't be soon enough (it won't be soon enough for me) Soon enough for me
In another world we could stand on top of the mountain With our flag unfurled In a time to come we will be dancing to the beat Played on a different drum We will be dancing to the beat Played on a different drum We will be dancing to the beat Played on a different drum
It's a tug of war (A tug of war, a tug of war) What with one thing and another It's a tug of war We expected more But with one thing and another We were trying to outscore each other In a tug of war (Pushing, pushing, pulling puliing) (Pushing, pulling)
* Paul McMcartney 1942.6.18~
비틀즈의 멤버였으며, 역사상 최고의 싱어송라이터로 불린다. 세계 최고 골드 디스크 기록을 60개, 역사상 가장 성공한 작곡가, 가장 돈이 많은 연예인 등의 기네스 기록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영국 차트에서 유일하게 솔로, 듀엣, 트리오, 콰르텟, 퀸텟, 그리고 자선 밴드의 모임으로 1위를 해본 적이 있는 사람이다.
1965년에는 비틀즈의 멤버로서 대영제국 훈장 5등급(MBE)을, 1997년 3월 11일에는 단독으로 기사작위(Knight Bachelor)를 받았으며(그래서 '매카트니 경(Sir. McCartney)' 이라고도 불린다) 1992년에 폴라음악상을 수상했다. 오오 폴 오오 1987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 1999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솔로 아티스트로서 입성했다. 2012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헌정되었다. 현재의 리이슈 (Reissue) 개념을 처음으로 도입했다. 자신의 앨범의 음질 상태가 마음에 안 들었던 폴이 그걸 직접 리마스터해서 재발매한 게 그 시초라 한다. 또 자신의 파트인 베이스를 비롯하여 피아노 등 많은 악기들을 잘 다룬다. 그의 첫 솔로 앨범 'McCartney' 는 전곡이 폴의 독주로 채워져있으며 후에도 그런 시도를 자주 보여줬다. 심지어 조지 마틴은 드럼 실력이 기술적으론 (롤 주법에 한해서) 비틀즈의 드럼 담당인 링고 스타를 능가한다고 말했다. 누누이 말하지만 링고는 잘못이 없다 특이하게도 '폴'이 중간이름임에도 '제임스'가 아닌 '폴'로 불린다. 집안에서도 태어나서부터 폴이라고 했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자신도 정확히 잘 모른다고 한다. 아버지 이름도 제임스였기 때문에 구분하기 위해서라고 생각했지만 동생 피터 마이클도 중간이름 마이클로 부르는 걸 봤을 때 아일랜드계의 특징이 아닌가라고 폴 매카트니 본인이 추측하였다. *출처: 나무위키. https://namu.wiki/w/%ED%8F%B4%20%EB%A7%A4%EC%B9%B4%ED%8A%B8%EB%8B%88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Cause I try and I try and I try and I try 난 노력하고, 노력하고, 또 노력해보지만 I can't get no, I can't get no 만족할 수 없어 When I'm drivin' in my car 내가 차를 타고 드라이브하고 있을 때 And that man comes on the radio 어떤 남자가 라디오에 나와서 He's tellin' me more and more 아무 쓸모 없는 얘기를 About some useless information 하고 하고 또 했지 Supposed to fire my imagination 내 상상력 같은 건 전부 불태워버린다해도 I can't get no, oh no no no 난 만족할 수 없어 Hey hey hey, that's what I say 이게 내가 말하려는 거야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Cause I try and I try and I try and I try 난 노력하고, 노력하고, 또 노력해보지만 I can't get no, I can't get no 난 만족할 수 없어 When I'm watchin' my TV 내가 TV를 보고 있을 때 And that man comes on to tell me 그리고 그 남자가 내개로와 말했지 How white my shirts can be 어떻게 내 셔츠를 희게 만드는 지를 But he can't be a man 'cause he doesn't smoke 그는 남자가 될 수 없어 The same cigarrettes as me 나와 똑같은 담배를 피지 않거든 I can't get no, oh no no no 난 만족할 수 없어 Hey hey hey, that's what I say 이게 내가 말하려는 거야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I can't get no girl reaction 난 뭐라고 반응할 수도 없어 'Cause I try and I try and I try and I try 난 노력하고, 노력하고, 또 노력해보지만 I can't get no, I can't get no 만족할 수 없어, 난 만족할 수 없어 When I'm ridin' round the world 내가 전 세계를 돌고 있을 때 And I'm doin' this and I'm signing that 나는 이것을 하고 저것을 노래 했지 And I'm tryin' to make some girl 그리고 난 나에게 Who tells me baby better come back later next week 베이비라 불러줄 소녀를 만들려 했지 'Cause you see I'm on losing streak 왜냐하면 너는 내가 연패하는것을 알고 있기에 I can't get no, oh no no no 난 만족할 수 없어 Hey hey hey, that's what I say 이게 내가 말하려는 거야 I can't get no, I can't get no 만족할 수 없어, 난 만족할 수 없어 I can't get no satisfaction 난 만족할 수 없어 No satisfaction, no satisfaction, no satisfaction 없어, 없어, 없어!
*The Rolling Stones 록 밴드, 1962~
믹 재거의 두꺼운 입술을 소재로 삼아 존 패슈(John Pasche)가 디자인한
롤링 스톤스의 로고. 롤링 스톤스는 몰라도 티셔츠 등 각종 머천다이징을 통해
널리 알려진 이 로고는 많이들 알아본다.
현존하는 가장 위대한 록밴드, 현존 록밴드들 중 그 누구도 넘을 수 없는 대중 음악계의 레전드.
The Rolling Stones. 1962년, 런던에서 결성된 영국의 록 밴드로 지금까지 단 한번의 해체 없이 여전히 정력적인 활동 중인 장수 록 밴드.
롤링 스톤스 음악의 특징은 섹스, 마약, 심지어 인종차별과 성차별까지도 서스럼없이 노래하는 특유의 '퇴폐성'과 음악 전반에 깔린 '자유'라고 할 수 있다. 복잡하지 않으면서 흥겹고 풍부한, 때론 직설적이고 풍자적인 가사도 일품. 록의 정신이 '자유', '저항', '퇴폐' 등으로 요약되므로 어쩌면 가장 록다운 록을 들려주는 밴드라고 평가할 수 있겠다. 쉽게 말해 롤링 스톤스는 록이라는 장르에 정체성을 불어넣은 밴드다.
거친 흑인스타일의 블루지한 보컬 믹 재거의 거리낌없이 자유롭게 노래하는, 속된 말로 '깡패 창법'은 고음과 괴성이 아닌 진정한 보컬의 표현력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는 롤링 스톤스의 상징이다. 게다가 믹 재거는 오히려 90년대 이후 목소리가 더욱 파워풀해졌다.정력 돋네 또다른 핵심 멤버 키스 리처즈의 성질나는 듯 거침없이 긁어대는 기타사운드와 명 리프들 역시 롤링스톤즈 음악성의 핵심.
게다가 전성기 시절에 안주하지 않고 70년대에는 디스코, 80년대에는 팝 스타일과 일렉트로니카, 90년대에는 현대적인 록 사운드를 흡수하는 '구르는 돌'이라는 팀명답게 시대에 따라 항상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렇기에 제 2의, 제 3의 전성기를 이룰 수 있었다.
* '(I Can't Get No) Satisfaction' 1965 영국 최고의 인기밴드가 된 이후 롤링 스톤스는 먼저 미국으로 건너가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비틀즈를 따라 미국으로 건너간다. 그러나 "Time Is On My Side"라는 곡이 빌보드 싱글 6위를 기록한 것 말고는 비틀즈의 인기와는 감히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초라했다. 오히려 "House Of The Rising Sun"이란 곡으로 유명한 '애니멀스'가 빌보드 1위를 차지해버린다. 그렇게 롤링 스톤스는 영국의 영광을 뒤로 한 채 묻혀가는가 하던 찰나에, 기타리스트 '키스 리처즈'가 꿈에서 들었다는 멜로디를 통해 작곡했다는 "(I Can't Get No) Satisfaction"을 발표한다.[5] 1965년에 발표된 이 곡은 단번에 빌보드 1위를 차지했고, '세계를 뒤흔든 기타리프'라는 평가를 들으며 이후 롤링 스톤스의 대표곡이 된다. 본 곡은 VH1선정 20세기 최고의 록 음악으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이후 절정의 흥겨움을 자랑하는 "Get Off Of My Cloud", 아름다운 발라드 "As Tears Go By" 등도 히트하면서 명실상부 최고의 인기밴드로 자리매김한다. *이미지 출처: 구글 이미지 *롤링 스톤즈 외소개 출처: 나무위키; https://namu.wiki/w/%EB%A1%A4%EB%A7%81%20%EC%8A%A4%ED%86%A4%EC%8A%A4
Is it getting better 좀 나아지고 있나요 Or do you feel the same 아니면 아직도 그대로인가요 Will it make it easier on you 이제 비난을 돌릴 사람이 있으니 Now you got someone to blame 당신에게 좀 수월해질까요 You say one love one life 한밤에 한가지 원하는 게 있다면 When it's one need in the night 당신은 하나된 사랑, 하나된 삶이라고 하죠 It's one love, we get to share it 우리가 나누어 주어야 할 것은 사랑이에요 It leaves you baby 당신이 신경쓰지 않는다면 If you don't care for it 사랑은 떠나고 말거에요 Did I disappoint you? 제가 당신을 실망시켰나요 Or leave a bad taste in your mouth? 아니면 씁쓸한 맛을 남겨 주었나요 You act like you never had love 사랑을 한번도 못해본 것처럼 행동하는 And you want me to go without 당신은 내가 당신없이 살길 원하는군요 Well it's too late tonight 오늘밤에 과거를 끄집어 to drag the past out into the light 들추어 내기에 너무 늦었어요 We're one but we're not the same 우린 하나지만 예전 같지 않아요 We get to carry each other 우린 서로를 이끌어 주어야 해요 Carry each other, one 하나가 되어 서로를 이끌 주어요 Have you come here for forgiveness 용서를 빌러 여기 왔나요 Have you come to raise the dead 죽은 자를 깨우러 왔나요 Have you come here to play Jesus 당신 머리 속에 든 병자 앞에 선 to the lepers in your head 예수 행세를 하러 온건가요 Did I ask too much more than a lot 제가 너무 많이 물어 보았나요 You gave me nothing 당신이 내게 준 것은 아무 것도 없기에 Now it's all I got 그게 내가 가진 전부에요 We're one but we're not the same 우린 하나지만 예전 같지 않아요 We hurt each other then we do it again 서로에게 상처를 주고 또 그러고 있어요 You say love is a temple 사랑은 신전이라고 당신은 말하죠 Love a higher law 사랑은 최고의 법이라구요 Love is a temple 사랑은 신전이고 Love the higher law 사랑은 최고의 법이라고 하죠 You ask me to enter 당신은 내게 그 안으로 들어 오라 하고선 But then you make me crawl 나를 힘들게 하는군요 And I can't be holding on to 상처만 가진 당신에게 what you got when all you got is hurt 계속 매달릴 수는 없어요 One love, one blood, one life 사랑과 피와 삶이 하나가 되어 You got to do what you should 당신의 몫을 해야 되요 One life with each other 서로가 하나의 삶이 되는 거에요 sisters, brothers 형제 자매들이여 One life but we're not the same 우린 하나지만 예전 같지 않아요 We get to carry each other 우린 서로를 이끌어 주어야 해요 Carry each other, one 하나가 되어 서로를 이끌 주어요
* U2 록 밴드, 1976~
U2는 아일랜드 더블린 출신의 록 밴드이다. 밴드의 멤버는 보노 (보컬, 리듬 기타)와 디 에지 (기타, 키보드, 보컬), 애덤 클레이턴 (베이스 기타), 래리 멀린 주니어 (드럼, 타악기)로 구성돼 있다. U2는 초기 포스트 펑크의 장르를 주로 했지만, 시간이 갈 수록 여러 대중음악 장르도 융합시켰다. 밴드의 음악 활동 전반에 걸쳐 엣지의 기타와 보노의 보컬이 U2의 주된 음악 멜로디로 자리잡았다. U2의 노래 가사들은 정치적, 이념적, 종교적 내용을 담고 있기도 하다.
밴드는 멤버들이 음악적으로 서툴렀던 십대였던 시절인 1976년 마운트 탬플릿 중학교에서 결성되었다. 4년 후, 이들은 아일랜드 레코드와 레이블 계약을 체결하고 데뷔 앨범 Boy를 발매했다. 1980년대 중반쯤, U2는 세계적인 밴드로 도약했다. 1987년 발매된 The Joshua Tree는 음반 판매에서보다 라이브무대로 더욱 성공했다. 《롤링 스톤》에 따르면 이 앨범은 밴드를 "영웅에서 슈퍼스타로" 만들어줬다고 했다. U2의 1991년 발매된 히트 앨범 Achtung Baby와 그에 따른 Zoo TV Tour는 밴드에 대한 음악적인 그리고 주제적인 재창조였다. 그들 자신의 음악적 부진에 대한 의견과 1980년대 말 비평운동에 반응하여 U2는 더욱 풍자적인 톤으로 그들의 성실한 이미지를 대체하는, 그들의 사운드와 퍼포먼스로 댄스 음악과 얼터너티브록을 융합했다. 이러한 실험적인 음악은 1990년대 그밖의 사람들에 의해 계속 이어진다. 2000년 발매된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는 U2가 2000년대에도 명성을 떨치게 해줬다. 현재도 많은 밴드들이 U2의 음악적 실험을 하고있고, U2는 좀 더 전통적인 사운드를 추구하고있다. U2는 지금까지 12장의 정규 앨범을 발표했고, 세계적으로 1억 5천만 장의 음반 판매고를 올렸다. 그리고 지금까지 그래미 상을 22번 수상해 그 어떤 밴드보다도 많은 기록이다. 또한 2005년 U2는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입성했고,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100인" 순위 중 U2는 22위에 올랐다. 밴드로 그리고 멤버 개인적으로써의 그들의 사업을 통해 인권과 박애운동을 위한 여러 캠페인 활동을 하고있다.
Mother, mother 어머니, 어머니 There's too many of you crying 너무나 많은 어머니들이 울고 있어요 Brother, brother, brother 형제여, 형제여, 형제여 There's far too many of you dying 너무나 많은 형제들이 죽어가고 있어요
You know we've got to find a way 우리는 방법을 찾아야 해요 To bring some lovin' here today 오늘 여기 사랑을 가져오기 위해
Father, father 아버지, 아버지 We don't need to escalate 우리가 일을 확대시킬 필요는 없어요 You see, war is not the answer 모르겠어요? 전쟁은 답이 아니에요. For only love can conquer hate 왜냐하면 오직 사랑 만이 증오를 이겨낼 수 있거든요
You know we've got to find a way 방법을 찾아야 해요 To bring some lovin' here today 오늘 여기 사랑을 가져오기 위해
Picket lines and picket signs 시위대와 구호들 Don't punish me with brutality 날 잔인하게 벌하지 말아요. Talk to me, so you can see 내게 말해봐요, 당신도 볼 수 있게
Oh, what’s going on 오,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What's going on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Ya, what's going on 그래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Ah, what's going on 아,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Right on, baby, right on 그래요, 당신
Mother, mother, 어머니, 어머니, Everybody thinks we're wrong 모든 사람들이 우리가 틀렸다고 생각해요 Oh, but who are they to judge us 오, 하지만 그들이 누구라고 우릴 심판하나요 Simply because our hair is long 단지 우리 머리가 좀 길다고
Oh, you know we've got to find a way 오, 우리는 해결책을 찾아야 해요 To bring some understanding here today 오늘 여기 이해를 가져오기 위해
Picket lines and picket signs 시위대와 구호들 Don't punish me with brutality 날 잔인하게 벌하지 말아요. Come on talk to me, you can see 내게 말해봐요, 당신도 볼 수 있게
What’s going on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What's going on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Tell me what's going on 말해줘요,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I'll tell you what's going on 말할게요,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 Ooh~
* Marvin Gaye
마빈 게이, 1939.4.2 ~ 1984.4.1
1941년생인 마빈 게이(Marvin Gaye)는 부친이 목사인 관계로 어렸을 때부터 교회 음악을 익히면서 성장했으며, 고교 시절에는 교내 오케스트라에서 피아니스트로 활약하는 등, 자신의 독자적인 음악 영역을 구축한 인물인데,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문 그로우즈(Moon Grows)라는 그룹에서 연주 활동을 펼치면서 본격적인 뮤지션으로 활약했다. 1971년 앨범 《왓츠 고잉 온》부터 앨범 제작에 대한 전권을 획득해 소속사의 관리에서 벗어나 스스로 앨범 전체를 프로듀스하기 시작했다. 《왓츠 고잉 온》은 베트남 전쟁, 빈민가의 어려운 삶 등 다소 무거운 주제를 다뤘다. 1973년 앨범 《렛츠 겟 잇 온》은 《왓츠 고잉 온》과 달리 남녀 간의 사랑과 섹스어필을 주요 소재로 삼았다. <렛츠 겟 잇 온(Let's Get It On)>(1973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위), <컴 겟 투 디스(Come Get To This)>(1973년 21위) 등의 히트 덕분에 마빈 게이는 당시 섹스 아이콘으로 등극했다.
1970년대 후반 첫 번째 부인 안나 고디(Anna Gordy)와의 이혼, 두 번째 부인 재니스 헌터(Janis Hunter)와의 결별, 세금 문제 때문에 정신적으로 괴로워했고 이로 말미암아 약물에 심각하게 의존했다. <섹슈얼 힐링(Sexual Healing)>(1983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위)으로 재기에 성공했으나 1984년 평소 사이가 좋지 않았던 아버지와 언쟁을 벌인 뒤 아버지가 쏜 총에 사망했다.
마빈 게이는 모타운의 음악적 특징을 확립하고 성장에도 공헌함으로써 '프린스 오브 모타운(Prince Of Motown)'이라는 칭호를 들었다. 미국 싱어송라이터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와 함께 모타운에서 앨범 제작의 전권을 획득한 아티스트로 기록된다. <렛츠 겟 잇 온>, <아이 원트 유(I Want You)>(1976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5위) 등으로 알앤비의 하위 장르인 콰이어트 스톰의 확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87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Rock And Roll Hall Of Fame)에 헌액됐다.
"I'm playing to kids in general. I mean it doesn't matter where they come from.
we have the same problems. we all physically have same thoughts. you know."
Kurt Cobain.
1967-1994,
the singer and song writer of Nirvana.
Smells Like Teen Spirit
Load up on guns and
Bring your friends It's fun to lose And to pretend She's over bored And self assured Oh no, I know a dirty word
총으로 무장을 하고
친구들을 데려와 봐
지고 나서
아닌 척 하는 건 재미있어
그녀는 무척이나 따분해 했고,
자기만족에 빠져 버렸어
아냐, 난 추잡한 말을 알고 있어
hello, hello, hello how low? With the lights out it's less dangerous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I feel stupid and contagious Here we are now Entertain us A mulatto An albino A mosquito My Libido
이봐, 이봐,
정말 저속하군
불이 꺼지면 덜 위험해
우린 여기서
즐거움을 만끽하고
난 멍청한데다가
전염성이 있는 것 같아
우린 여기서
즐거움을 만끽하고 있어
혼혈아
흰둥이
모기
나의 성적 충동
I'm worse at what I do best And for this gift I feel blessed Our little group has always been And always will until the end
난 내가 최선을 다하는 데는 소질이 없어
하지만 그 재주에 난 감사하지
우리 그룹은 항상 그래왔고
영원히 그럴꺼야
hello, hello, hello ... My Libido
And I forget just why I taste Oh yeah, I guess it makes me smile I found it hard It was hard to find Oh well, whatever, Never mind
난 내가 왜 맛을 보는지 잊어버려
그 때문에 웃곤하지
난 어렵다는 걸 알았어
찾기 어려워
그게 뭐든지간에...
신경쓰지마
Mother, you had me, 어머니, 당신은 나를 낳으셨죠. but I never had you 그러나 나는 당신의 사랑을 받지 못했어요 I wanted you, 나는 어머니와 같이 있기를 원했지만 you didn't want me 어머니는 나를 소홀히 하셨죠. So I, I just got to tell you 그래서 이제는 당신께 말하려 해요
Goodbye, goodbye 안녕히.. 안녕히
Father, you left me, 아버지, 당신은 날 떠났지만 but I never left you 당신은 늘 내 마음에 있어요 I needed you, 나는 당신이 필요해요 you didn't need me 당신은 날 필요로 하지 않았어요 So I, I just got to tell you 그래서 이제는 당신에게 말하려고 해요 Goodbye, goodbye 안녕히...안녕히
Children, don't do 아이야, 내가 살아온 것처럼 what I have done
살지는 말아라
I couldn't walk 나는 앞으로 나아갈 수도 없었고, and I tried to run
나는 가출을 시도 했어.
So I, I just got to tell you 그래서 이제는 너에게 말해 Goodbye, goodbye 안녕히 .. 안녕히
"looking back on it, John was always looking for help."
- Paul McCartney
"He had a paranoia that people died when he was around: His father left home when John was 3, the uncle he lived with died later, then his mother died. I think John's whole life was a cry for help“
Here Today
And if I say,
I really knew you well what would your answer be? If you were here today Ooh- ooh- ooh, here to-day. 만약 내가 당신을 잘 안다고 말한다면
당신은 어떻게 대답할까요?
만약 당신이 지금 이 자리에 있다면
아, 당신이 지금 이 자리에 있다면
Well knowing you,
You'd probably laugh and say that we were world's apart.
If you were here today
Ooh- ooh- ooh, here to-day.
내가 아는 당신은
아마 웃으며 말했겠죠. 우리는 세상 반대편에 있다고
만약 당신이 지금 이 자리에 있다면
아, 당신이 지금 이 자리에 있다면
But as for me,
I still remember how it was before,
And I am holding back these tears no more
Ooh- ooh ooh, I love you, ooh.
하지만 나로서는
예전에 어땠는지 지금도 기억하고 있지요
더 이상 눈물을 감출 수는 없어요.
당신을 좋아합니다.
What about the time we met?
Well, I suppose that you could say that we were playing hard to get.
Didn't understand a thing,
But we could always sing.
우리가 만났던 시절이 기억이 나요.
아마, 성공하기 위해 열심히 연주해야한다고 했었죠.
그때는 이해하지 못했지만
우리는 늘 노래를 부르곤 했죠
What about the night we cried,
Because there was no reasons left to keep it all inside?
Never understood a word,
But you were always there - with a smile.
우리가 울던 날을 기억합니다.
가슴에 담아둘 필요가 없었기 때문이었죠.
한 마디도 이해하지 못했지만
당신은 늘 미소를 띄며 함께 있었습니다.
And if I say,
I really loved you and was glad you came along.
If you were here today.
Ooh- ooh- ooh, for you were in my song.
Ooh- ooh- ooh, here to-day.
만약 내가, 당신을 진정 좋아했다고, 당신이 함께 있어줘서 기뻤다고 말한다면
만약 당신이 지금 여기에 있다면
아, 당신은 내 노래속에 살아있기에.
아아, 지금 여기에
*1982년 발표된 폴 매카트니의 솔로 앨범 Tug of War의 수록곡으로 같은 비틀즈의 멤버였던 존 레논을 추모하는 내용이 담겨져 있다. 존 레논은 1980년 12월 8일 총격으로 인해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났고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대중음악계에 있어서 충격이 된 사건이었다.
폴 매카트니는 청년 때부터 존 레논을 만나 음악적 교류를 해왔고 이후 비틀즈를 함께하며 음악적 파트너인 동시에 라이벌로서 일생에 가장 중요한 순간을 함께 해 온 사람이었다. 이러한 그에게 존 레논의 죽음은 다른 이들 못지 않게 충격이고 슬픔이었을 것이다. 'Here Today'는 그러한 폴 매카트니의 입장에서 존 레논의 추모하고 회상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