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20

해미는 대마초를 통해 가뿐히 넘어간다.

노을 마저 방금 사라진 시퍼런 하늘과 동네를 마주하고 윗옷을 벗어던진다. 고막을 움켜쥔 짙은 색소폰 소리에 그레이트 헝거인양 황홀히 몸을 맡긴다. 홀연 소리는 사라지고,해미는 이 세상으로 돌아 온 자신을 발견한다. 하는 수 없이, 그녀는 시퍼렇게 운다.


‘버닝’(2018) 8년만, 이창동 감독.

‘버닝’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헛간을 태우다’와 연결되어 있고, 다시 그것은 윌리엄 포크너의 ‘Barn Burning’과 연결되어 있다.고 들었다.

어떤지 지금부터 살펴볼까.

2018.5.17. 5:30-7:58pm 광주 충장로에서


Q. 글을 쓰는 시간이 즐거우신가요? (조지 플림턴이 1954년 5월 마드리드에서 물었다)

A. 무척이오.

- 헤밍웨이. Ernest Hemingway, US, 1899-1961


2018-05-15

"거침없이 글을 쓴다는 것은 아무것도 일어나고 있지 않다는 증표입니다."

"글쓰기를 멈춰야 한다는 증표이지요. 한 문장에서 다른 문장으로 넘어갈 때 어둠 속에서 헤매게 되면, 계속 글쓰기를 해야 한다는 확신이 생깁니다." - 필립 로스 (Philip Roth, US, 1933-)


Q. 단락,문장,장면 중 어떤 것이 생각의 가장 기본 단위일까요?

A. 그것들을 서로 분리하는 것은 물론 어려운 일입니다만,
저는 문장이 그 단위라고 생각하고 싶네요.
문장이야말로 작품이 매 순간 수행되어야 할 곳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문장들이 서로에게 어떻게 울리는지를 또한 듣고 싶어해요.

- 이언 매큐언 Ian McEwan


2018-05-13

“그 자신에게 글쓰기란 권투와 같다는 헤밍웨이의 글이 제게 큰 감명을 주었습니다” - 마르케스


“그는 자신의 건강을 잘 돌보았지요. ......
훌륭한 작가가 되기 위해 작가는 글을 쓰는 매 순간 절대적으로 제 정신이어야 하며 건강해야 합니다. 글 쓰는 행위가 희생이라거나, 경제적 싱황이나 감정적 상태가 나쁘면 나쁠수록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낭만적인 개념의 글쓰기에 대해 강력하게 반대합니다. 작가는 감정적으로나 육체적으로나 아주 건강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문학 작품 창작은 좋은 건강 싱태를 필요로 한다고 생각합니다”

-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Gabriel García Márquez, Colombia, 1927-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