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15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켄 로치 감독: '다른 세상이 가능하다고 외쳐야 한다'


"사람들에게 '가난은 너의 잘못이다'라고 말하는 우리의 잔인함이 문제다."
 
영국 영화감독 켄 로치(80)가 지난 5.22일
'나, 다니엘 블레이크'로 황금종려상을 거머쥔 후 말한 소감입니다.


 
2006년 아일랜드 내전으로 서로에게 총구를 겨눈 형제의 이야기
'보리밭을 흔드는 바람'에 이은 2번째 수상입니다.

'나, 다니엘 블레이크'는 의사의 권유로 일을 그만둔 후 실업급여를 신청했다가 구직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복지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한 중년 노동자의 삶을 그린 영화입니다. 융통성 업고, 힘없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딱딱하기만 한 관료제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파고들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로치는 소감에 앞선 기자회견에서도 이런 부분을 지적했습니다.
"소외 계층의 문제는 영국뿐 아니라 유럽 전체의 일이다.
사람들에게 '가난은 너의 잘못이다'라고 말하는 우리의 잔인함이 문제이다."



변하지 않은 세상에 대한 아쉬움을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50년 전에 만든 '캐시, 집에 오다'와 비슷한 내용의 작품을 아직도 만들도록 하는 현실이 놀랍다"

1966년 작인 '캐시, 집에 오다'는 '나, 다니엘 블레이크'처럼
복지정책의 문제로 인해 가족이 해체되는 모습을 담은 작품입니다.



'블루칼라의 시인'이라는 별명을 지닌 로치 감독은 젊은 시절부터 지금까지
스크린 안과 밖 모두에서 사회를 비판하는 날카로운 눈길을 평생 놓지 않았습니다.

옥스포드대학에서 법학을 전공한 후 노동자, 빈곤계층의 삶을 화면에 담는 다큐멘터리 감독으로 영화계에 발을 내디뎠습니다

 

'케스'(1969), '가족 생활'(1971), '하층민들'(1991), '랜드 앤 프리덤'(1995), '빵과 장미'(2000), '자유로운 세계'(2007), '루트 아이리쉬'(2010)

여성, 노동, 전쟁 등 무겁게만 보이는 사회 현상들을 다큐,드라마는 물론이고 모키디로 풀어내는 다양성과 예리함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2013년 많은 영국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마거릿 대처 전 영국 총리가 숨졌을 때도
공기업 민영화, 대량 실업 등을 이유로
"영국 현대사에서 가장 분열적이고 파괴적인 총리"라고 독설을 퍼부었던 로치.


Ken Loach, 1936.6.17-



이번 수상 소감에서도
"신자유주의라는 이상이 전 세계를
위험에 빠뜨리고 말았다"
유럽의 금융위기를 꼬집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4년 작 '지미스 홀' 이후
은퇴를 선언했다가
"아직도 할 말이 많다"

다시 메가폰을 잡은,

켄 로치.


"우리는 다른 세상이 가능하고,
또 필요하다고 외쳐야만 한다."



*이미지 출처: 구글 이미지
*글 출처: 뉴스1. http://news1.kr/articles/?267149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