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06-04

translation: 'Oxford Modern English Grammar' (Ch.10.1 - 10.3.2)

* Translated into Korean by Hongsung Kim (iamhongsungkim.blogspot.com)


Chapter 10  (Mood)

이전 챕터에서 우리는 시제와 상의 문법적 개념과 그와 관련된 시간과 상성의 의미론적 개념에 대해 논의했다, 그리고 이 챕터에서 우리는 법(mood)을 본다.


10.1 (Mood) 과 서법성(modality)

용어 (mood)’은 한 언어의 문법이 서법성(modality)을 부여하는 방법을 가리킨다, 서법성이란 가능성’, ‘추측’, ‘필연성’, ‘의무’, ‘허락’, ‘의도’, 그리고 능력같은 의미론적 관념들과 관련된 하나의 개념이다. 이것들은 서법적 의미들이라고 불린다. 외관상 연결되어있지 않은 이 개념들을 묶는 것은 그것들 모두는 현재 사실이 아니거나 실현되지 않은 상황에 대해 말할 때 사용된다는 것이다 이다. 한 예로써, 만약 우리가 가능한것으로써 어느 한 상황을 말한다면, 말하는 그 시점에서는 그 경우처럼 될 것인지가 알려져있지 않다, 그러나 그것은 일어날 수 있다. 비슷하게, 만약 내가 무언가를 해야하는 것으로 의무지어져 있다면, 그때 나는 그것을 실현해내야 하는 것으로 강요받고 있는 것이기도 하다. 예를들자면, 서법조동사 M­­­­­­­­­­­­­AY를포함하고 있는 아래의 예문 (1) 은 다음과 같이 바뀌어 쓰일 수 있다.  ‘it is possible  that she is thin-skinned’, 그리고  서법조동사 MUST가 있는 예문 (2) 의 두번째 절은 다음과 같이 바뀌어 쓰일 수 있다. ‘he is obliged  to act now’

1 She may  be thin-skinned.

2 There is a crisis, and he must  act now.

서법 표현을 포함하는 절은 서법화(modalized)되었다고 말한다. 고대 영어에서는 서법 의미가 동사의 굴절 어미를 통해 전달될 수 있었다. (‘가정법’; subjunctive mood). 현대영어에서는, 가정법이라고 말하는 것이 맞아 들어가지 않는다. 그러면, 오늘날 소통되는 영어에서는 서법 의미가 어떻게 표현되어질까? 이에, 영어를 분석적 법(analytic mood)의 체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유용하다., 고대 영어에서 동사의 굴절 어미에 의해 전형적으로 표현되어지는 의미들이, 본동사에 앞서는 서법조동사의 조합이나  절과 같은 구문을 통해 나타나는 문법적 체계로써 법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이 장의 나머지 부분에서, 나는 서법성의 세가지 유형과, 영어에서 서법성이 표현되어질 수 있는 다양한 방법들을 논의할 것이다.

 
10.2 영어에서 서법성의 세 가지 유형

우리는 서법성의 세 가지 유형들을 구별 한다: 의무적 서법성(deontic modality), 지식적 서법성(epistemic modality), 그리고 동적 서법성(dynamic modality).

의무적 서법성(deontic modality)은 사람들에게 무언가를 하게끔 시키는 것 또는 그들이 무언가를 하도록 허락하는 것과 관련된다. , ‘의무허락과 같은 개념들이다. 아래 예제가 있다

3 Well, you must  be slightly more succinct then.

4 You may  voluntarily give up your right to reduced liability.

지식적 서법성(epistemic modality)지식또는 추론과 관련된다. 여기 이것을 분명하게 해주는 예제 두 개가 있다

5 ‘He must be here somewhere.’ Anne said.

6 You may be left out of it because you are a freelancer.

예제5,6 두 경우 모두에서, 발화자는 그들이 내리고 있는 결론을 위한 어떠한 증거를 갖고 있다. 첫 번째 예에서, Anne는 그녀가 말하고 있는 사람의 행방에 대해 추론을 할 수 있게 해주는 어떠한 지식을 갖고 있다, 한편 (6)에서 청자가 제외될 것이라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은 그들이 프리랜서라는 지식에 기반을 둔다.

의무적 서법성과 지식적 서법성의 경우에서, 의무, 허락, 또는 지식의 원천은 전형적으로 발화자이다. 예를들어, (3)에서 청자에게 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사람은 발화자 이다, 그리고 (5) (6)에서 결론을 내리는 사람도 역시 발화자이다.

의무적 서법성과 지식적 서법성은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 예를들어, 만약 내가 세상에 대한 나의 지식 기반위에서 어떤 확실한 결론을 내린다면, 나는 그 결론을 내리는 것이 의무 지어진 것이기도 하다, 때때로는 논리적으로 의무지어지기도 한다. (: John killed the flyThe fly must be dead를 수반한다). 이에 다음과 같은 주장이 제기되오고 있다. 역사적으로, 지식적 서법성은 의무적 서법성으로부터 발달해왔고, 이것이 왜 똑같은 서법조동사가 양쪽 유형의 서법성을 표현하는 데에 모두 사용되어 질 수 있는 지를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이다. (: MUST의무와 함께 ‘(논리적) 결론도 표현할 수 있다).

동적 서법성은 전형적으로 능력(ability)’ 그리고 의지(volition)’와 관련된다, 그리고 이들 의미론적 개념들은 발화자 보다는 서법 조동사를 포함하는 절의 주어와 관계된다. 따라서 (7)에서, we로써 지시되어지는 개인들이 그들의 모국어를 말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한편 (8)에서 WILL은 절의 주어의 지시자의 편, you의지를 나타낸다,. 우리는, (8)에 근접한 의미로 다음과 같이 바꾸어 쓸 수 있다. ‘If you are willing to go downstairs,…’

7 In two or three years of learning that language we’re never goint to be able to speak it to the same standard we can  speak our native tongue.

8 So if you will  go downstairs, and then you could look through these two postgraduate guides.

동적 서법성은 또한 가능성(possibility)’필연성(necessity)’에 관련되는 중립적 정황의 의미들도 포함한다. 예를들어CAN에 의한 (: You can buy newspapers here)MUST에 의한(: The envelope must be sealed before being posted) 각각의 표현에서 처럼, 여기서 서법성의 원천은 세상이 조직되는 방법 즉, 정황이다.

 

10.3 영어에서 서법성의 표현

뒤따르는 Sections에서보게될 것처럼,

서법성은 영어에서 수많은 방법으로 표현되어진다.

10.3.1 서법적 과거 시제(modal past tense)

서법적 과거 시제는 section 9.2.2.3 에서 논의되어졌다. 여기에는 좀 더 많은 예제들이 있다.

9 If organisations operated  according to classical free-market theory, there would be no organizational problem.

10 If I had  a recording of them would I be able to understand it?

각각의 경우에서 과거 시제는 조건절에 표현된 상황이 일어날 것 같지 않거나 그렇게 될 것 같지 않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것은 있을 법하지 않고, 의심스러운 가능성이다. 다른 말로하면, 조건 절에 의해 표현되는 상황은 그렇게 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다.

 

10.3.2 가정 절(subjunctive clauses)

많은 언어에서 서법성은 동사 굴절을 통해 표현되어진다. 뒤따르는 스페인어의 예제와 비교해보라.

 

11            Juan siempre                                                                                                    trae un regalo.

                  Juan always bring-3RD-PS-SG-PRES-IND                            a present

                  ‘Juan always brings a present’

12            Espero                                        que Juan traiga                                                           un regalo.

hope-1ST-PS-SG-PRES-IND     that Juan bring-3RD-PS-SG-SUBJVE             a present

                  ‘I hope that Juan brings a present’

PS=person;  SG=singular;  PRES=present;  IND=indicative;  SUBJVE=subjunctive

첫 번째 예제에서 Juan이 항상 선물을 가져오는것은 사실로써 표현되었다. 그러므로 이 진술은 비서법적이다(unmodalized). 그러나 두 번째 예제에서 발화자는 Juan이 선물을 가져오기를 바라는 것을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이유 때문에 서법적 상황의 특별한 형식을 말하고 있다, ‘hoped-for situation’. 그리고 두번째 예제에서는 이제 보통의 직설법 현재 시제 형태(trae)와는 완전히 다른 현재 가정법 동사 형태(traiga)를 갖는다. 우리가 일찍이 보았던 것처럼, 고대 영어도 또한 가정법 동사 형태들을 가졌다. 그러나 시간을 지나며 영어의 동사 어형변화표(verbal paradigms)는 변화했다. 현대 영어가 가정법(subjunctive mood)이라 말하여지는 것을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 됐다. 그러므로 영어 동사의 현재 가정법형태라고 말하는 것은 거의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왜냐하면 간단히 말해 그것들은 plain 형태와 구별될 수 없기 때문이다. 예를들어, 동사 URGE가 수동태 조동사 BE plain형태를 야기시키는 예제 (13)에서 처럼 말이다. 미국영어세어 이것은 기본값이다. 그러나, (14)가 보여주듯이 plain 형태가 항상 쓰이는 것은 아니며 이 예제에서 우리는be 보다는 현재 시제 동사 형태 are를 갖는다. 이 구문은 미국 영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영국영어에서는 매우 일반적이다. Section 2.2.1.3을 회상해보라. 그곳에서 우리는 (13)의 괄호쳐진 절을, 서법 의미를 표현하는 가정 절’(subjunctive clauses)로 지시했다. 더 구체적으로, 우리는 그것을 명령적인 의미를 표현하는 명령적 가정 절’(mandative subjunctive clauses)로 지시할 것이다.

13 I urged in my previous letter [that these research staff be  treated as their present colleagues].

14 Some water boards insist [that all cold water taps in the house are  taken from the rising main].

Section 10.3.5.2.3에서, 나는 서법 조동사 should를 포함하는 명령 절(mandative cluase)의 특별한 형식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영어는 또한 과거 가정 동사 형태를 갖지 않는다, 우리가 section 2.2.1.3에서 보았던 것처럼. 유일한 예외는 동사 BE로써, 예제 (15), (16)에서 처럼1,3인칭 단수에 있어 과거 가정 형태 were를 사용한다. 오직 이것이 영어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가정 동사 형태이다.

15 If I were  you, I’d apply for the York position just for the experience.

16 Asked whether he would accept the Everton job if he were  offered it, he replied: “I never comment on hypothetical situations.”

이 예제들에서 단순 현재 시제 형태 was는 많은 발화자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것이다. 이 관점에서 예제 (17)을 살펴보라. 여기서 발화자는  첫 번째 if-절의 주어 he 뒤에서는 were를 사용한다. 그러나 두 번째 if-절의 주어 I 뒤에서는 was를 사용한다.

17 I wouldn’t be surprised if he were found hanging on the end of that phone very shortly, so I’d dial quickly if I was you.

그것들이 조건을 표현하는 것, , 가정적 가능성들로 주어졌을 때, if-절은 전형적으로비-사실적 문맥의 서법성을 만들어낸다. 조건적 의미는 또한 (18)에서처럼 도치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18 Were this a Yoshizawa book, the designs would be yet more beautiful, but wester writers are not usually permitted to publish the very best of his work.

서법 문맥을 만들어내는 다른 표현들에는 as ifas though도 있다.

19 Well, I suppose if I lived each year as if it were my last I could enjoy myself, couldn’t I?

20 It’s as though there were a garden round him with coolness and roses.

뒤따르는 예제에서, as it were표현은 화석화되었다.

21 In one leap, as it were, the unraveling of that frustrating knot made the law approachable for them.

다음 section에서 우리는 핵심 서법 조동사에 대한 논의로 나아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